분류 전체보기 68

대웅제약 DWN1208 [국내 IPF 치료 약물 개발 1]

현재 Idiopathy pulmonary fibrosis (IPF)에 관한 약물은 Pirfenidone과 Nintedanib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pirfenidone은 3개 임상 3상을 통해 mortality 개선 효과를 봤지만, 위장관 부작용이 퍼페니돈 사용에 어려움을 주고 있습니다. 닌테다닙은 FVC와 급성악화, SGRQ에 대한 개선 효과를 보였지만 아직까지 mortality 개선에 영향을 못 보주고 있습니다. 이는 장기간 연구를 좀 더 지켜보면 더 좋은 효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아직 닌테다닙에 급여가 적용되지 않아서 국내에서 사용하기엔 경제적인 부담이 있습니다. 이들 약물이 그동안 어려운 IPF 치료제 개발의 길을 닦았고, 다양한 약물이 IPF 치료제로 개발되고 있습니다. 국내..

현재까지 알려진 COPD biomarker 모음

COPD를 평가하는 surrogate biomarker가 마땅한 게 없는 상황이라 COPD 치료제 개발에도 어려움을 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다양한 논문과 빅파마에서 대량의 임상시험을 통해서 바이오마커를 개발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저도 결과가 빨리 나오길 기대하고 있지만 검증까지 언제 완료되나 걱정입니다. 지금까지 나온 COPD 바이오 마커를 정리해봤습니다. 중요한 것은 바이오마커라고 해도 어떤 것과 연관된 바이오마커인지 고려돼야 합니다. 그리고 어느 샘플에서 채취가 가능한지도 확인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1. Micro vascular blood flow ( related with lung structure) Recent publications suggest that early structur..

특발성 폐 섬유증과 방사성 폐렴의 차이 (IPF vs Radiation pneumonitis)

폐섬유증과 폐렴의 차이를 비교하면, 폐섬유증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 같습니다. 폐에서 발생하지만 완전히 다른 두 질병의 차이를 통해 연구하시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특발성 폐 섬유증 방사성 폐렴 Triggering factors Repetitive injury to the aging genetically susceptible alveolar epithelium Direct and indirect injury of ionizing radiation to the AECs and vascular endothelial cells Major role fibroproliferative response (fibroproliferative repair phase becomes dominant un..

탈모치료제 CTP-543이 기대되는 이유

최근 탈모 치료제 CTP-543의 치료효과가 이슈가 된 적이 있습니다. 극적으로 대머리가 단 몇 주 만에 머리가 풍성해졌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미 JAK inhibitor로 원형 탈모제가 있습니다. 단지 CTP-543가 좀 더 효과가 더 빨리, 더 좋습니다. 홍보 효과가 좋았다고 생각도 듭니다. 하지만 이 약물은 유전적인 탈모에는 효과 없어서 제한적인 사용만 가능합니다. 그래도 원형탈모 환자도 많이 있으니 그래도 많은 사람들이 혜택 받을 거라 생각됩니다. 1. CTP-543 Generic Name Deuruxolitinib Molecular Weight 313.414 MOA JAK1, JAK2 inhibitors Therapeutic Group Hair Growth Stimulation Highest ..

Pamrevlumab(FG-3019)_특발성 폐 섬유증(IPF) 치료제의 연구내용

IPF 치료제로 개발되고 있는 Pamrevlumab(FG-3019)의 동물실험 결과와 임상시험에 대해서 조사하였습니다. 폐섬유화에서 FG-3019가 disease modulator로써 역할을 기대하고 있는 만큼 과연 폐섬유화를 되돌릴 수 있는 약물인지 알아보려 합니다. 1. FG-3019 연구 결과_동물시험 1.1. Methods Mouse Thorax Irradiation and CT monitoring 1.2. Results Septal thickening and pneumonitis were evident at 16 weeks, but lung remodeling was substantially resolved within two weeks of FG-3019 treatment and almost ..

동물실험에서 임상시험결과 도출 (From laboratory and animal studies to patients)

많은 연구자들이 궁금해합니다. 동물실험을 통해 미리 임상시험을 예측할 수 있을지 말입니다. 결론적으로 동물실험을 통해서 임상실험 결과를 직접적으로 예측할 수 없습니다. 간접적으로 "가능성 있겠는데?"정도입니다. 많은 연구자들도 궁금했던 것 같습니다. 논문을 통해서 비임상연구를 통해 임상연구를 예측할 수 있는지에 대한 리뷰 페이퍼가 많이 있습니다. 그중에 한 논문을 정리해서 이야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The role of non-clinical studies 1.1. The role of non-clinical studies Clinical trials Risk management and mitigation New Drug Application (NDA) The prescription of a med..

신기한_바이오 2022.07.02

COPD Unmet medical need

현재까지 COPD를 치료해주는 약물은 없으며, 증상 완화를 통해 환자의 Quality of life을 높이는 효과밖에 없습니다. 질병을 늦출 수 있는 방법은 현재로는 금연뿐입니다. COPD 치료에 대한 Unmet need가 무엇이 있을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1. Rationale for Treatment Drivers and Goals Selection Category Attribute Rationale for survey inclusion 1. Efficacy Improvement in lung function •FEV1, a measure of lung function, has historically been an important clinical trial endpoint for COPD drug..

퇴행성 관절염 치료제. 메가카티 (MegaCarti)알아봅시다.

퇴행성 관절염 치료제인 메가카티에 대해 조사한 내용을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관절염에 대한 치료제가 마땅하지 않습니다. 대부분은 통증을 완화제입니다. 그래서 연골을 재생해주는 약물이 있다면 그야말로 관절염 치료제로써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아직은 완벽한 관절염 치료제는 없는 것 같습니다. 메가카티의 효과가 아무리 좋더라도 단점이 있습니다. 같이 알아보겠습니다. 메가카티는 엘앤씨바이오에서 개발한 제품입니다. 1. 퇴행성관절염 치료제 동종 연골을 하이드로겔 형태로 물리적인 가교를 통하여 제조 퇴행성 관절염 치료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 제시 2. 신문기사 정리 1) 메가카티란? 인체 유래 연골인 초자연골을 무세포화해 이식하는 세계 최초의 인체조직 기반 무릎관절 연골 손상 치료 의료..

Visomitin (SKQ-1)의 기능연구 리뷰

안구 건조증 경쟁사를 조사하다가 매우 흥미로운 약물을 발견해서 오늘 소개하고자 합니다. 비소미틴(visomitin)이라는 약물은 code name이 SKQ1으로 스쿨라쵸브 퀴논 1(skulachev's quinone)의 약자입니다. 이름에서 눈치채셨겠지만 러시아에서 개발된 약물입니다. 이약물이 흥미로운 것은, 지금은 안구 건조증 치료제로 연구가 되고 있지만, 이전에 대규모 프로젝트로 항산화제인 SKQ1이 어디에 효과가 있을까? 연구들이 동물에서 진행되었습니다. 노화와 관련된 질병을 타깃으로 연구를 진행했고, 결과적으로 약물이 동물에서 노화를 억제하고, 암 형성 억제, 안구 질환에도 효과가 있다는 것을 밝혀냅니다. 1. Mechanism of SKQ1 먼저 SKQ1의 개발 History를 말씀드리면, 19..

폐암관련 가이드라인 모음

어떤 질병을 처음 알아볼때는 가이드 라인을 보는 것 만큼 좋은 것이 없습니다. 하지만 그만큼 어려운 것이 없습니다. 누가 한 줄 정리해준 내용이 더 편합니다. 하지만 가이드에 나와 있는 내용을 숙지 하고 있다면 근거를 제시하는데 매우 좋습니다. 폐암과 관련된 링크를 첨부하오니 참고 하길 바랍니다. LINKS TO GUIDELINES Small-cell lung cancer: ESMO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diagnosis, treatment and follow-up (European Society for Medical Oncology, April 2021) Screening for lung cancer: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반응형